장안사(長安寺)
장안사는 673년(문무왕 13)에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하여 쌍계사(雙溪寺)라 했다가 애장왕(800~809)이 다녀간 후 장안사로 개칭하였다고 한다. 고려시대의 역사는 분명하지 않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불탄 것을 1638년(인조16) 태의대사(太義大師)가 중건하였다고 한다. 1654년(효종 5) 원정(元正), 효능(孝能), 충묵(沖黙) 스님이 대웅전을 중건하였다. 1948년 각현(覺玄)이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경내에는 대웅전, 명부전, 응진전, 산신각 등이 있다. 대웅전은 1654년 중건된 것으로 안에는 후불탱화(後佛幀畵)화 신중탱화(神衆幀畵)가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처마는 겹처마, 지붕은 팔작지붕, 공포는 다포양식이다. 1975년에 단청을 다시 하였다. 건물은 높이가 비교적 높고 부재가 견실하여 이 사찰의 중심 건물로서의 웅장한 기상을 잘 나타태고 있다. 절의 입구에는 5기의 부도가 있으며, 정원에는 독특한 모양의 단풍나무가 있다.
동판에 조각된 사천왕상
달마상 가슴에 동전이 붙는다?
포대화상
장안사 대웅전(長安寺 大雄殿)
부산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37호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
이 건물은 불광산 기슭에 있는 장안사의 중심 건물이다.
대웅은 부처의 덕호(德號)이며, 대웅전은 석가여래 부처님을 봉안한 곳이다. 이곳에는 중앙에 본존불인 석가여래, 오른쪽에 아미타여래, 왼쪽에 약사여래의 세 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대웅전 중심에 불상을 안치하고 있는 불단을 수미단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세계의 중심인 수미산 꼭대기에 부처님이 앉아 자비와 지혜의 빛을 발하고 있다는 불교의 세계관을 상징하는 것이다.
*후불탤화인 석가영산회상도는 시지정문화재 제87호이다.
*석조삼세불좌상은 시지정문화재 제94호이다.
응진전(應眞殿)
응진전 내부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중심으로 좌우에 아난(阿難)과 가섭(迦葉)을, 그 주위에 16나한을 배치하고 끝에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을 봉안하였으며 곳에 따라서는 오백나한을 모신 오백나한전도 있다.
나한이란 일체의 번뇌를 끊고 끝없는 지혜를 얻어 세상 사람들의 공양을 받는 성자를 의미한다. 이들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부탁으로 다음 부처가 올 때까지 사람들이 섬길 수 있도록 열반에 들지 않고 세상에 남아 있게 되었다고 하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까운 16제자들을 나타낸다.
산신각
명부전(冥府殿)
시왕전(十王殿) 또는 지장전(地藏殿)이라고도 한다. 이 법당의 주불은 지장보살이며 그 좌우에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을 협시로 봉안하며 다시 그 좌우에 명부시왕상을 안치했다.
지옥이 텅 빌 때까지 성불하지 않겠다는 위대한 서원을 세우시고 머리에는 두건을 쓰고 저승에 상주가 되었으며 육환장을 들어 육도 중생을 모두 구제한다는 대원을 가지고 계신 분이다.
*석조지장 시왕상은 시지정문화재 제86호이다.
*후불탱화인 지장보살도는 시지정문화재 제89호이다.
극락전
달마상 뒤에 있는 멋진 단풍나무 잎이 없어도 훌륭하다.
내원사(10.2.4) (0) | 2010.02.05 |
---|---|
기장 해동용궁사(10.2.3) (0) | 2010.02.05 |
고령 양전동 암각화(10.1.27) (0) | 2010.01.28 |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10.1.27) (0) | 2010.01.28 |
점필재 종택(10.1.27) (0) | 201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