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암사지(2010.5.30)

가까운 곳 여행/문화유산

by ninesun 2010. 5. 31. 23:51

본문

합천 영암사지(陜川 靈巖寺址)

          사적 제131호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1984년에 절터 일부의 발굴조사를 통해, 불상을 모셨던 금당(金堂)과 서금당(西金堂), 회랑(回廊)과 부속된 건물터등이 확인되었다. 원래의 절에는 탑, 석등, 금당이 일직선으로 배치되었고, 금당의 동서에 각각 1기의 비석이 있었던 것과, 금당이 세 차례에 걸쳐 개축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통일신라시대 말부터 고려시대에 걸치는 각종의 기와와 함께, 8세기경의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이 출토되어, 이 절의 창건연대를 짐작하는데 좋은 단서가 되고 있다.

  영암사라는 이름은 입으로 전해지는 것일 뿐, 정확한 기록에서 확인된 것은 아니어서, 절의 정확한 이름과 내력은 알 수 없다.

 

 

 

 

 

 

 

 

 

 

 

 

 

 

 

 

 

영암사지 삼층석탑(靈巖寺址 三層石塔)

              보물 제480호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영암사 터에 무너져 있던 것을 1969년에 복원한 화강암재 석탑이다. 높은 2중 기단에 몸돌은 1층에 비해 2층과 3층이 아주 낮은 편이다. 지붕돌은 비교적 얇고 평평하며, 아래 부분에는 4단의 주름이 잡혀있다. 몸돌의 비례가 정형을 벗어나 있으나, 전체적 균형을 잃은 것은 아니고, 각 부분의 구성도 간결하여 소박한 느낌을 주고 있다.

  탑의 규모가 비교적 작고, 지붕돌 아래 부분의 주름이 4단으로 되어 있어, 5단으로 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탑보다는 늦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9세기 후반 경에 세워진 석탑으로 생각되고 있다.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靈巖寺址 雙獅子 石燈)

                  보물 제353호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영암사 터에 세워진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이다. 1933년경에 일본인들이 불법으로 반출하려던 것을 막아 가회면사무소에 보관하였다가, 1959년에 절터에 암자를 세우고 원래의 자리로 옮긴 것이다. 불법의 불을 밝혀 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위에는 지붕돌로 덮고, 아래는 3단 구성의 받침을 두었다.

  4개의 창이 난 화사석의 4면에는 두터운 돋을 새김의 사천왕상이 베풀어져 있다. 쌍사자로 된 중간받침 이외의 모든 부분은 8각으로 만들어져, 통일신라시대의 특색을 보이고 있다.

  1단의 받침돌에는 아래를 향한 연꽃잎이 두텁게 조각되었고, 8각면에는 동물모야이 조각되었다. 2단의 쌍사자는 꼬리를 치켜든 모습으로 위를 떠받치고 있는데, 다리의 근육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힘찬 모습이다. 3단의 받침돌에는 위로 향한 연꽃잎이 두텁게 조각되었다. 얇은 지붕돌 등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만든 양식이나 조각이 다소 형식화되고 있어, 9세기 후반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속리산 법주사의 쌍사자석등[국보 제5호]과 함께 우리나라의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주위의 수려한 산세와도 아주 잘 어울리고 있다.

 

 

 

 

영암사지 귀부(靈巖寺址 龜趺)

             보물 제489호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금당(金堂)터의 동서에 위치한 2기의 비석은 비와 머리장식이 없어졌다. 동쪽 거북모양의 비석받침[龜部]은 용머리에 목을 곧바로 세운 힘찬 모습이다. 겹줄로 귀갑문(龜甲文)이 새겨진 등은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어 강인함과 율동감을 느끼게 하고 있다. 서쪽 거북모양의 비석받침[龜部]은 크기도 작고, 움츠린 목에 등도 평평한 편이다.

  2기 모두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나, 이러한 차이에서 동쪽의 비석받침이 다소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가까운 곳 여행 >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원 고구려비(2010.6.2)  (0) 2010.06.02
충주 중앙탑(2010.6.2)  (0) 2010.06.02
남원 실상사(2010.5.21)  (0) 2010.05.22
단양 대흥사(2010.5.16)  (0) 2010.05.16
온달산성(2010.5.16)  (0) 2010.05.16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