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에 있는 흑석사를 방문하였다. 한창 불사를 하고 있었어 어수선한 모습이었다.
흑석사석불좌상 (黑石寺石佛坐像)
보물 제681호. 높이 179cm. 이 불상은 부근에 묻혀 있던 것을 발굴하여 옮겨놓은 것으로 양쪽 귀, 양 손, 무릎 부분은 석회로 보수되었다. 나발(螺髮)의 머리 위에 육계(肉?)가 솟아 있다. 상호(相好)는 원만한 편이며 이마의 백호와 이목구비 등이 적당하게 잘 표현되었고, 전체적으로 은근한 미소를 띠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양쪽 귀는 약간 긴 편이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다. 약간 움츠린 듯한 어깨에 통견(通肩)의 법의를 걸쳤는데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로 둥근 옷주름을 이루면서 흘러내려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무릎을 덮고 있으며, 두 다리 사이로 부채꼴 모양의 옷자락이 표현되어 있다.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잡혀 있지만 어깨가 약간 위축된 듯하고, 법의의 옷주름에서 형식화된 면이 보이므로 통일신라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공사 때문에 천으로 불상이 보호되어 있어서 볼 수 없어서 퍼옴)
흑석사 마애삼존불상(黑石寺 磨崖三尊佛像)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5호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산200
이 마애불(磨崖佛)은 자연상태의 바위에 새긴 것으로 중앙의 본존불(本尊佛)과 좌우 협시 보살상(協侍 菩薩像)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존 모두 입상(立像)이지만 본존불은 가슴 부분 이하, 협시보살은 목 부분 이하를 새겨 넣지 않은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다.
본존불은 살상투가 뚜렷하며 두 귀는 어깨까지 늘어져 있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으며, 옷 주름은 마모되어 명확하지가 않다. 좌우 협시 보살상은 무두 둥근 두광(頭光)에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으며 우협시에 비해 좌협시의 얼굴이 더 넓게 표현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원형이 유지되어 있고 소박하고 아름답고 우아한 선의 표현 등에서 그 제작연대가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흑석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병복장유물(黑石寺 木造阿彌陀佛坐像幷腹藏遺物)
국보 제282호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1380-1
이 불상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대표적인 목조아미타불좌상으로 높이 72cm, 어깨 폭 29cm, 무릎 폭 50cm이다. 높은 상투 모양의 머리에 얼굴은 계란형의 수척한 모습이며, 아담한 형태로 체구도 단정하다.
복장기(腹藏記)와 불상조성 권선문(勸善文)의 내용에 의해 이 불상은 조선 세조(世祖) 4년(1458)왕실과 종친들의 시주로 조성된 삼존상(三尊像) 가운데 한 분이고, 원래 정암산(井巖山) 법천사(法泉寺)의 불상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복장유물은 불상 조성의 절대 연도를 알려주고 있어 조선 초기의 불교조각사, 서지학, 직물염직 분야에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흑석사는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사찰로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폐찰로 내려오다가 1945년에 다시 지어졌으며, 이 불상은 그 이후에 이 곳으로 옮겨 모셔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류정 종택(09.4.29) (0) | 2009.04.30 |
---|---|
퇴계태실(09.4.29) (0) | 2009.04.30 |
우계종택(09.4.26) (0) | 2009.04.26 |
오봉헌&벽산정 (0) | 2009.04.26 |
영덕 충효당(09.4.26) (0) | 200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