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오신 다음날에 직지사를 찾았다. 연등과 사람들의 모습에서 아직 석가탄신일을 맞고 있었다. 여러차례 방문하여도 여전히 멋있고 신비로운 사찰이 나를 차분하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느끼게 한다.
직지사(直指寺)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이다. 〈사적기 事蹟記〉에 의하면 신라시대인 418년(눌지마립간 2) 아도화상(我道和尙)이 선산 도리사(桃李寺)를 개창할 때 함께 지었던 절이라고 한다. 절의 이름에 대해서는 아도화상이 도리사를 창건한 후 멀리 황악산 직지사터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저곳에 절을 지으라고 해서 붙여졌다는 설과 성주산문의 조사(祖師) 무염대사가 머물렀던 심묘사에 부속된 절로 남종선의 가르침인 '불립문자 직지인심 견성성불'(不立文字直指人心見性成佛)을 표방한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고려시대에 능여대사(能如大師)가 이 절을 세울 때 자[尺]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자기 손으로 측량하여 지었다고 해서 직지사라고 했다는 설도 있다. 645년(선덕여왕 14) 자장율사가 중창한 이래로 930년(경순왕 4), 936년(태조 19)에 천묵대사(天默大師)와 능여대사가 각각 중창하여 대가람이 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사명대사(四溟大師)가 출가하여 득도한 절로도 유명하다. 현재 경내에는 대웅전(1735 중건)을 비롯하여 천불이 모셔져 있는 비로전(1661 창건)·약사전·극락전·응진전·명부전·사명각(泗溟閣) 등이 남아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금동6각사리함(국보 제208호), 석조약사불좌상(보물 제319호), 대웅전앞3층석탑 2기(보물 제606호), 비로전앞3층석탑(보물 제607호), 대웅전삼존불탱화 3폭(보물 제670호), 청풍료앞삼층석탑(보물 제1186호) 등이 있다.
일주문, 자하문
대양문
금강문
천왕문
남방의 증장천왕(增長天王), 서방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북방의 다문천왕(多聞天王) 동방의 지국천왕(持國天王)
만세루
직지사대웅전(直指寺大雄殿)
보물 제1576호
경북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직지사 대웅전은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까지는 좌측의 계곡을 끼고 지형에 맞추어 휘어져 올라온 북쪽에 위치하며, 萬歲樓에서 대웅전에 이르기까지는 일직선상에 놓여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禪堂이 위치해 있으며, 대웅전 앞 뜰에는 2개의 3층탑이 놓여 있는 2탑식 중정형 가람배치를 가진다.
직지사 대웅전 가구의 구성 및 부재의 표현기법은 조선후기의 건축적 특징이 잘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직후 재건된 불전들의 경향을 보이며, 아름답고 뛰어난 기법을 보여주는 내·외부 많은 벽화와 불단이 남아 있는 등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충분하다.
직지사 대웅전 앞 삼층석탑
보물 제606호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이 두 탑은 통일신라 말기(9세기)의 석탑이다. 비로전 앞 삼층석탑과 함께 원래는 경북 문경군 산북면 서중리의 도천사터에 쓰러져 있던 것인데, 1974년 이곳으로 옮겼다.
이 탑들은 대체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양식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삼층석탑에서 보이는 이중기단이 아니라 단층기단인 것이 특이하다. 기단에는 면마다 안기둥과 귀기둥을 돋을새김하였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기 하나의 돌로 만들었는데, 몸돌에는 다른 장식 없이 귀기둥 모양만 돋을새김하였다. 지붕돌에는 수평을 이룬 처마선 아래로 1층부터 차례로 5ㆍ5ㆍ4단의 처마받침을 두었으며, 1층 지붕돌에는 추녀 끝마다 풍경을 달았던 구멍이 뚫려져 있다. 상륜부는 1976년에 추정 복원한 것이다.
이 탑들은 단층기단인데다가 1층 몸돌이 유난히 길게 올라가 있어서 시원한 상승감이 돋보인다.
사랑의 동전 탑 쌓기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보물 제670호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대웅전 수미단 위에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동쪽에 약사불과 서쪽에 아미타불이 모셔져 있다. 불상 뒷벽에는 각 부처들의 설법 장면을 그린 석가모니후불탱, 약사후불탱, 아미타후불탱 등 3폭의 불화가 걸려 있다. 비단 바탕에 그린 이 불화들은 모두 길이 6m가 넘는 거작으로, 영조 20년(1744)에 직지사의 세관(世冠)스님을 비롯한 16명의 화승(畵僧)들이 그린 것이다. 각 폭마다 여래를 중심으로 보살ㆍ나한ㆍ천왕ㆍ신장 등을 배치하였고, 적색ㆍ녹색ㆍ황색을 주조색으로 채색하였다.
짜임새 있는 구도, 각 존상(尊像) 표현에 보이는 뛰어난 묘사력, 차분한 색조와 조화로운 배색, 화려하고 섬세한 세부 표현 등이 어우러져 장엄한 불교회화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직지사 삼존불탱화는 작품성과 규모에 있어 18세기 불화를 대표하는 우수한 작품이다.
아기 부처님
직지사석조약사여래좌상(直指寺石造藥師如來坐像)
보물 제319호
경북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광배와 불상을 하나의 돌로 만들었다. 불상의 머리는 민머리이고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표현되었다. 얼굴은 마모가 심해 세부표현을 자세히 살필 수 없지만, 둥글고 풍만한 인상이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고 있는데, 옷에는 평행 계단식의 무딘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아래를 향하고 있고, 왼손에는 약항아리를 들고 있어서 이 불상이 약사여래상임을 알 수가 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온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는 폭이 넓어 맵시있는 모양은 아니지만 덩쿨무늬와 불꽃무늬를 새겨 장식하였다.
전반적으로 세부표현이 둔감해졌으며 광배의 무늬도 세련미가 줄어든 점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의 양식을 계승한 약사여래좌상으로 볼 수 있다.
포대화상
범종각
관음전
응진전
직지사 사명각(直指寺 四溟閣)
사명각은 임진왜란 당시 나라를 구한 호국대성 유정(護國大聖 惟政,1544~1610) 사명대사의 영탱을 봉안하여 대사의 유덕을 기리는 건물로서 조선 정조 11년(1787)에 창건되었다.
대사의 속성은 임씨 자는 이환(離幻)이며, 법명은 유정 법호는 사명 또는 송운(松雲)이다. 1544년 10월 17일에 경남 밀양의 무안면 고나리에서 태어나 15세에는 황악산 아래 유촌 황여헌으로부터 유학을 수학하더니 곧 황악산 직지사로 출가하여 주지 신묵화상(信黙和尙)의 제자가 되었다. 18세가 되는 명종 16년(1561)에는 선과에 합격하고, 30세인 선조 6년(1573)에는 직지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49세가 되는 선조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큰 공을 세웠다. 특히 적의 진중에 여러 차례 드나들며 왜적을 설득하여 백성들의 화를 면하게 하더니 선조 37년(1604)에는 61세의 몸으로 일본에 건너가 억류되었던 포로 3000여명을 데리고 귀국하므로 선조는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삼아 어마를 하사하는 등 대우가 극진하였다. 광해군 2년(1610) 67세를 일기로 가야산 해인사에서 입적하니 시호를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라 하였다.
명부전
직지사 비로전 앞 삼층석탑
보물 제607호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이 석탑은 통일신라 말기(9세기)의 석탑이다. 대웅전 앞에 서 있는 2기의 삼층석탑과 함께 문경군 산북면 서중리 도천사터에 있던 3기의 석탑 중 하나이다. 1974년 이곳으로 옮겨왔으며, 1976년 상륜부를 추정 복원하였다.
이 탑은 대웅전 앞 삼층석탑과 크기나 양식, 세부가 모두 같다. 이렇게 모든 면에서 동일한 3기의 석탑이 한 곳에 서 있는 경우는 그 밖의 예가 남아 있지 않아서 매우 특별한 경우에 속한다. 또한 이 탑은 삼층석탑이면서도 이중기단이 아닌 단층기단 석탑으로서, 이러한 예들이 문경ㆍ상주ㆍ선산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이 지방의 특색으로 이해되고 있다.
약사전
비로전
안양루
청풍료
직지사 청풍료 앞 삼층석탑
보물 제1186호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이 탑은 통일신라 말기(9세기)의 석탑으로, 원래 구미시 선산읍 원동 낙동강변 강락사터로 전해지는 절터에 무너져 있던 것이다. 1968년 경북 선산군 군청 앞뜰로 옮겼다가 1980년 다시 이곳으로 옮겼으며, 이때 상륜부를 추정 복원하였다.
기단이 단층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양식을 고루 갖추고 있다. 기단은 한 면을 두 장의 돌로 짜맞추었는데 안기둥과 귀기둥을 돋을새김 했을 뿐 별다른 장식은 없다. 탑신을 이루는 몸돌과 지붕돌은 각기 하나의 돌로 만들었다. 몸돌에는 다른 장식없이 귀기둥만 돋을새김하였으며, 지붕돌에는 수평을 이룬 처마선 아래로 5단의 처마받침을 두었다.
1층 몸돌의 높이가 2ㆍ3층에 비하여 성큼하게 높으면서도 지붕돌의 두께와 폭이 알맞아 단층기단의 탑이면서도 차분한 안정감과 경쾌한 균형감을 가지고 있다.
전시장의 석불
남월료
청암사(09.5.3) (0) | 2009.05.06 |
---|---|
모성정(09.5.3) (0) | 2009.05.06 |
봉암사(09.5.2) (0) | 2009.05.05 |
경류정 종택(09.4.29) (0) | 2009.04.30 |
퇴계태실(09.4.29) (0) | 2009.04.30 |